::: SYSTEM :::/└ ::: LINUX ::: 20

rsync 사용법

레드햇 리눅스 6 서버 - 파워북 출판사, 번역판중 rdist 관련 자료 man page - rsync(1), rsyncd.conf(5) 0. 들어가며 서버 클러스터링으로 여러대의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각 호스트간의 자료를 공유해야합니다. 공유기법에는 NFS도 있지만 NFS의 경우는 네트웍 트래픽을 무척이나 높이므로 그 대신 rdist나 rsync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rsync를 이용하여 각 호스트간의 자료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 rsync란 무엇인가? rsync는 rcp와 비슷한 동작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rcp보다 더 다양한 옵션이 있고, 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다른 부분만을 전송) 파일크기의 변화나 시간의 변화등을 이용 동기화를 합니..

Xmanager 설정

2. XDMCP를 이용해서 리눅스의 KDE나 GNOME 환경을 사용하려면 리눅스 시스템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리눅스 runlevel 설정 /etc/inittab 파일에서 runlevel을 5로 설정합니다. id:5:initdefault: gdm 환경 설정 (gdm을 사용하는 경우) /etc/X11/gdm/gdm.conf (Fedora Core 5에서는 /etc/gdm/custom.conf) 파일의 [xdmcp] 섹션에서 Enable의 값을 1로 설정합니다. Enable=1 Fedora, ubuntu 등의 경우 /etc/X11/gdm/gdm.conf (Fedora Core 5에서는 /etc/gdm/custom.conf) 파일의 [security] 섹션에서 DisallowTCP의 값을 false로 설정합니..